네이버 뉴스를 통한 주식 종목 발굴 추천, 21년 4월 1차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주식투자

뉴스를 통한 주식 종목 발굴 추천, 21년 4월 1차

by 핑포 2021. 4. 11.

 

안녕하세요.

 

저는 주식을 한지 한 3년 정도 되었는데,

 

단기 투자는 지양하고, 주로 장기 투자를 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기록 없이 투자를 하는 터라, 내가 왜 그 회사에 투자했는지 까먹고, 

 

초심(?)을 잃어버리는 때가 있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떠신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이제부터, 종목발굴하는 기록을 하고, 내가 주식 종목을 선택한 이유를 머리 속에 깊이 각인 시켜 보겠습니다.

 


저는 사실,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종목 투자를 좋아합니다. (시가총액이 큰 종목)

 

그래서 큰 수익은 나지 않지만, 잃는 투자는 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종종 손절을 한 종목들이 있었지만, 하나같이 누가 좋다고 해서 샀거나, 미심쩍은 종목들이었습니다.

 

즉, 욕심에 의해서 샀던 종목들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저는 아침마다 신문사 마다 경제 뉴스 스크랩된 것을 보고 있는데요.

 

거기서 자주나오는 단어, 트렌드 등을 종합해서 종목을 발굴해보겠습니다.

 

어떤 단기적 호재에 의해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의 변화와, 기업의 성장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종목 발굴을 해보려고 합니다.

 


항상 그렇지만, 자신이 확신할 수 없는 투자를 하게되면, 불안하고 초조하기 마련인 것 같아요.

 

확신있는 투자는, 근거가 있어야겠죠?

 

앞으로 생각 날때마다, 캡쳐해둔 기사를 기반으로 종목발굴을 해보겠습니다.


1. 삼성전자

 

불굴의 삼성전자 입니다. 

 

요리보고, 저리보아도, 꼭 투자해야할 삼성전자 입니다. 저도 비중을 더 늘릴 예정입니다.

 

 

“삼성, 두번 접는 더블 폴더폰 낸다”…불붙는 폴더블 전쟁

화면이 접히는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news.joins.com

-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이 주도하고 있음. (시장 점유율 87%)

- 21년 삼성전자는 올해에만 3종류의 폴더블 폰을 출시할 예정.

 

 

반도체·ICT 기업이 R&D 주도…미래차·항공우주에도 집중 투자

반도체·ICT 기업이 R&D 주도…미래차·항공우주에도 집중 투자, 연구개발 '1조 클럽' 9곳…현대모비스 첫 가입 삼성전자, 21.2조로 1위…LG전자·SK하이닉스 뒤이어 R&D 줄인 기업도 47곳 달해…산업계

www.hankyung.com

- 삼성전자 연구개발비는 21.2조원으로 국내 1등

- 반도체 분야에서 초격차 유지 , 인공지능, 전장사업 

- *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4차 산업시대를 준비하는 국내 대표기업

 

 

삼성 '갤S21' 조기출시 전략 적중…모바일 영업익, 반도체 넘어섰다

삼성 '갤S21' 조기출시 전략 적중…모바일 영업익, 반도체 넘어섰다, 1분기 매출 65조·영업이익 9.3조…시장 예상 웃돌아 IM부문서만 영업이익 최대 4.6조…전체의 절반 달해 프리미엄폰 가격인하

www.hankyung.com

-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 예상 9조원을 넘은 9조 3천억원 달성

- 갤럭시 신제품 출시 및 생활가전 (TV,비스포크) 매출 증가

- 갤럭시 모델의 가격 인하전략과 조기출시 전략이 성공적임

 

 

삼성, 美 시장 'LG폰 빈자리' 메운다…보급폰 5종 출격

삼성, 美 시장 'LG폰 빈자리' 메운다…보급폰 5종 출격, 기존 가격에 프리미엄 성능 '가성비 갑' 갤럭시A시리즈로 '북미 빅3' LG 공백 파고들어

www.hankyung.com

- 미국시장에 보급형 스마트폰을 5종 출시함.

- LG 전자가 스마트폰 제조에서 손을 뗀 빈 공간을 노리는 것임.

 

 

‘반도체 갖겠다’ 미·중 노골적 야심…서로 삼성 불렀다

12일 백악관 회의는 표면적으로는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에 대해 대책을 논의하겠다는 것이지만, 업계에서는 미국 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투자에 속도를 내달라는 주문으로 해석한다. SEMI

news.joins.com

- 전세계의 반도체 생산능력은 한국이 세계에서 대만 다음으로 2위이다.

- 중국과 미국이 삼성전자에게 자국 내에 생산기지를 세워달라고 요청했다.

 (삼성전자의 엄청난 미래 가치... 를 나타내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 카카오 & 네이버

 

한국을 대표하는 IT 기업인 카카오와 네이버는 점점 각자의 강점을 살려,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를 대로 올라버린 줄 알았던 네이버는 세계적인 기업을 노리고 있고,

 

카카오는 다양한 플랫폼 구축으로 한국을 점령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네이버에 새로 투자를 시작했는데, 돈만 많다면, 카카오에 투자도 하고 싶습니다.

 

 

지하철역까지 들어온 ‘개발자 모시기 전쟁’

 

www.chosun.com

- IT 개발자의 연봉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인력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음.

- 네이버는 올해 역대급 규모의 채용을 진행함. (900명 규모)

 

 

카카오 vs 네이버, 글로벌 콘텐츠 무한경쟁

카카오 vs 네이버, 글로벌 콘텐츠 무한경쟁, 카카오, 美 웹소설 업체 인수 美시장 장악한 네이버와 '전쟁' 웹툰·영화·드라마·게임… 콘텐츠 지재권 천문학적 가치 네이버 '스위트홈'·카카오 '승

www.hankyung.com

- 카카오, 미국 웹소설 업체 인수 (래디쉬 - 웹소설 업체)

- intellectual property (IP) 는 천문학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음

- IP 서비스는 확장성이 굉장하기 때문에 IT 기업에게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

- 24년에 세계 시장규모는 2조 4천억 정도가 됨

- 네이버 왓패드(미국 웹소설 업체)

 

'호재 만발' 카카오, '사상 최고가' 선물이 도착했어요!

'호재 만발' 카카오, '사상 최고가' 선물이 도착했어요! , 두나무 나스닥 상장설에 액면분할·日픽코마 선전까지… 외국인 매수로 8.37% 급등 웹소설 래디쉬 인수도 추진 1분기 영업익 77% 증가 추정

www.hankyung.com

- 카카오 재팬이 운영하는 '픽코마' 웹툰 웹소설 업체가 가파른 성장

- 비트코인 호황 ← 업비트 앱 ← 두나무 운영 ← 카카오 지분 (23%)

- 전년대비 영업이익 77% 개선 !

- 래디쉬 인수

 

 

네이버, 인도네시아 최대 미디어社에 베팅

네이버, 인도네시아 최대 미디어社에 베팅, 엠텍에 1678억 투자 웹툰·메신저 시너지 기대

www.hankyung.com

- 네이버 인도네시아에 최대 종합 미디어 기업 엘랑마코다테크놀로지에 투자

- 전국 1,2위 공중파 채널을 보유한 기업

- 인도네시아 시장 장기적으로 개척

- 네이버는 동남아에 8개 기업에 투자 중으로 활발한 투자

- 인도네시아·베트남·태국·싱가포르·말레이시아·필리핀 등 동남아 주요 6개 국가 인구는 약 6억 명

- 올해 1000억 달러 시장규모 →25년까지 3000억 달러 시장규모로 커질 예정

 

 

[단독] 카카오, 단숨에 여성의류 플랫폼 1위로

[단독] 카카오, 단숨에 여성의류 플랫폼 1위로, 기업가치 1조 지그재그 인수 AI가 스타일에 맞는 옷 추천 '예비 유니콘' 자회사로 편입 네이버·쿠팡과 커머스 차별화

www.hankyung.com

- 카카오는 메신져, 음원스트리밍, 모빌리티, 콘텐츠  1위 독식

- 국내 커머스 점유율은 네이버 18.6%  쿠팡 13.7%, 카카오 2.9% 

- 카카오 톡 내 '톡딜' 이라는 차별화 전략을 사용

- 크로키 닷컴 '지그재그' 서비스는 여성의류 플랫폼 1위 업체인데, 카카오톡의 자회사가 됨.

 

 

'카뱅처럼 가볍게'…은행들 점포 304곳 줄였다

'카뱅처럼 가볍게'…은행들 점포 304곳 줄였다, 작년 4대 은행서만 236곳 감축 디지털 금융 확산에 구조조정 금감원 "축소하지 말라" 논란 카뱅은 1인당 생산성 2위로 껑충 無점포 기반 수익성 나홀

www.hankyung.com

- 20년 은행 총합 304곳 점포 폐쇄 감축함. (전체의 5%)

- 카카오뱅크 2019년 순이익 137억원  여덟 배에 달하는 1136억원의 순이익 (미친 상승세)


오늘은  삼성전자 / 카카오 / 네이버를 종목발굴해보았습니다.

 

장기적으로 꼭 가져가야할 종목으로 보이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