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트센터 설정업무를 맡았는데, SAP을 사용하는 경우 코스트 센터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코스트 센터는 해당 비용을 집계하는 기능의 개념이다.
예를 들어서 1 코스트 센터에는 사과에 관련한 비용 , 2코스트 센터에는 배에 관한 비용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3코스트센터에는 사과에 대한 비용 50%, 배에 대한 50% 이렇게 배부율을 나누어서 설정을 할 수도 있다.
물류팀 입장에서는 비용을 처리할 때, 각 팀별이나 판매비 코스트 센터를 알고, 배부시켜 처리해야한다.
아무튼 신설 창고에 코스트센터 생성과 어느 사업부에 배부율을 정할지는 사전에 합의해야하지만, 요번에는 창고에 대한 사용면적으로 구분하였다.
공통 비용 (소모품이나 관리비는) 공통 코스트센터를 통해, 단일 사업부에만 사용하는 곳은 단일 사업부 코스트 센터를 사용하면 된다.
'물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레트 제작 관련 (0) | 2023.02.20 |
---|---|
폐기물 관련 처리 (0) | 2023.02.16 |
물류 지식 도로 화물차 과적 단속 기준 (0) | 2022.07.01 |
22년 화물연대 총파업, 언제까지 지속될까? (0) | 2022.06.12 |
컨테이너 쇼링(화물고박)의 종류가 무엇이 있을까. (1) | 2022.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