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NCS 물류 직무능력 향상 - 3. 물동량 분석
본문 바로가기
물류이야기

NCS 물류 직무능력 향상 - 3. 물동량 분석

by 핑포 2021. 3. 16.

1.물류서비스+및+거점운영+계획_최종본_20160107_v2.pdf
4.10MB

안녕하세요 

 

물류직에 종사하며, 전문성에 대해 의문점이 있어, NCS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만,

 

생각보다 손에 잡히지 않네요 ㅜㅜ 

 

하지만! 천천히 ! 꾸준하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오늘은 '물동량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설계에 있어, 물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량 분포 및 패턴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물동량 분석 요구사항

(1) 취급 제품과 품목 수

(2) 시기별 출하량 및 출하 패턴

(3) 주요 고객사를 비롯한 수·배송 권역

(4) 재고관리 특성

(5) 물류서비스 : 수·배송 소요시간(Lead Time), 납품률, 수배송 관련 서비스

 


1. 물량 분포 파악

인바운드 - 아웃바운드 에서 제품 이동이 발생하는 입출고량, 재고량 정보를 분석하고,

고객사의 분포 파악을 위한 권역별 출고량, 고객사 분포 분석을 실시한다.

 

(1) 입출고 물동량

(2) 수배송 물동량

(3) 재고 물동량

(4) 권역별 물동량 분포

(5) 수배송처 분포


2. 물량 패턴 파악

(1) SKU별 출고 ABC 분석

기업이 운영하는 제품 수는 적게 수백가지 ~ 많게는 수십만 가지가 된다.

모든 제품을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제품 중요도에 따라 제품 분석이 필요하다.

 

ABC 분석(파레토) 은 상위 20% 품목이 80% 매출을 차지한다는 개념이다.

출고 ABC 분석은 특정 제품군의 물동량 점유율을 분석할 수 있다.


(2) 물동량 트렌트, 계절성 분석

물동량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데이터 분석을 하는 데 과학적으로 접근 하는 방법이다.

- 평준 : 평준화된 물동량

- 경향 : 물동량의 증가/감소

- 계절성 : 예측 가능한 물동량의 계절적 변동


(3) 수배송 패턴 분석

수배송 패턴 분석에서는 지역별/ 거점별 수배송량, 수배송 횟수, Drop Size 분석 등

다양한 패턴 분석을 통하여 운송에서의 비효율성을 찾아낼 수 있으며,

거점별 서비스 권역 및 수배송처 운송 소요시간과 회전 수 분석 등을 통하여 운송 효율성 평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4) 현 거점별 재고량 분석

거점별 재고 분석에서는 거점별 재고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 거점별 재고량

- 제품별 월말 재고량

- 재고일수

- 재고 회전율

을 통하여 재고 이슈 사항을 파악하고, 향후 네트워크 설계 시 거점별 목표 재고일수,

목표 재고회전율을 설정해 재고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