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NCS 물류 직무 능력 향상 - 물류운영계획 수립 - 1. 대내외 물류 환경 분석
본문 바로가기
물류이야기

NCS 물류 직무 능력 향상 - 물류운영계획 수립 - 1. 대내외 물류 환경 분석

by 핑포 2021. 1. 13.

출처 : www.ncs.go.kr/unity/th03/ncsSearchMain.do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블라인드채용

NCS 메인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및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유용한 컨텐츠를 만나 보세요

www.ncs.go.kr

 

0. NCS 직무능력을 공부하려는 계기

 

- 물류 전문가가 되겠다고, 자기소개서에 적고 입사에 성공한지 벌써 3년이 지났으나, 주어진 일만하는 회사원이 되어 있는 저를 발견하고,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 21년은 성장하는 해가 되고자, 직무능력과 영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 일단 직무능력이라는 것은 굉장히 추상적인 것이라고 느껴졌습니다만, 취업준비를 할 때 NCS라는 것을 접한적이 있었고, 국가에서 직무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두었던 것이 생각이 났습니다.

 

- 물류 동향을 찾아볼까, 보고서를 읽어볼까, 논문을 읽어볼까, 많은 생각을 했지만, 기초부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NCS 공부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 양이 굉장히 방대해서, 조금은 겁이나는 것이 사실이지만,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가 아닌만큼, 조금씩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끝까지 할 수 있을까요....?)

 

- 물류 취직 준비하시는 분들도 하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1.물류서비스+및+거점운영+계획_최종본_20160107_v2.pdf
4.10MB


1. 대내외 물류 환경 분석

 

- 목표 : 국내외 각종 통계와 자료를 참고로 물류 환경을 파악하고, 동향 및 경쟁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1) 대내외 물류 환경 분석의 필요성

 

-. 제조업체 중심 -> 유통업체 중심으로 변화

-. 보관업무 -> 운송업무 중심으로 변화

-. 물류 환경 분석 -> 미래 예측 및 방향 설정 가능

 

(2) 분석 요소

 

  ㄱ. 경제 환경

-. 경기의 변동 (물가, 환율, 이자율 등) -> 기업의 장기적 전략에 큰 영향

-. 각종 통계 및 정책서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

 

  ㄴ. 산업 구조

-. 생산단위가 수행하고 있는 산업활동을 유사성에 따라 유형화한 것.

 

  ㄷ. 수출입 교역 현황

-. 국가의 물류 흐름, 크기를 파악하는 데 필요함.

-. 수입, 수출 물동량의 균형, 주요 수출입품, 국가별 교역량 등 정보 수집

-. 교역 현황은 무역협회 홈페이지의 무역 통계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각종 리서치 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음

 

  ㄹ. 물류 인프라 환경

-. 도로,철도,항만 등 물류 인프라의 현황을 조사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물류 인프라 환경에 대하여 조사

-. 전문 인력과 교육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요소도 조사

 


2. 자사 물류 경쟁력 분석

 

목표 : 물류환경분석 자료와 이용 가능한 자원을 기반으로 자사의 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다.

 

(1) 물류 특성 파악

 

ㄱ. 물류 특성 파악의 필요성

-. 공급망 다변화, 글로벌화 -> 비용 절감 , 고객 서비스 향상 필요

-. 공급망의 물류 및 제조 거점 위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 공급망 특성을 고려한 네트워크 설계는 기업을 차별화해준다.

 

ㄴ. 네트워크 전략 변화

-. 물류 네트워크 전략을 통해, 서비스 수준이나 비용 구조를 최적화 할 수 있다.

-. DELL 의 예 : 최종 소비자까지 직접운송하는 전략 -> 고객만족

-. HP의 예 : 도소매점 이용하여, 고객이 빠르게 구매가능

-. 애플의 예 : 경험할 수 있는 매장을 만들어, 고객이 직접 사용해보고 구매하도록 함.

-. 국내 기업의 예 : 대형 통합물류 거점을 구축하여, 24시간 응대, 당일 배송 등의 서비스를 시작함.

 

 

(2) 물류 프로세스 분석

 

ㄱ. 거점 운영 현황 분석

-. 현재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거점 네트워크를 파악

-. 공급 포인트 : 공장, 공급업체, 항구 등

-. 중간 포인트 : 물류센터, 터미널, 공공시설(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서비스 센터

-. 수요 포인트 : 도소매상, 고객소비자 등

 

ㄴ. 물류 흐름 분석

-. 자재 주문부터 생산, 물류, 고객에게 제품이 전달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도식화해 물의 흐름, 정보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단계별로 물류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파악할 수 있다.

-. 조달물류 : 생산 활동에 필요한 원부자재를 공급자로부터 공정에 투입되기까지 발생하는 과정

-. 생산물류(사내물류) : 조달 이후 투입부터 고객의 판매가 확정되기까지 발생하는 과정

-. 판매물류 : 생산된 제품을 제품 창고에서 고객에게 까지 발생하는 과정


 

 

* 교수 방법

1. 리서치 기관에서 발행하는 전문 분석 자료를 참고해서 경제 분석 및 산업분석을 실시.

2.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및 물류 전략을 파악.

3. 기업의 물류 거점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거점별 기능 정의를 수행.

4. 기업의 현 물류 흐름을 분석해, 제품, 공급망 전체의 물적 흐름, 정보 흐름에 대하여 도식화해 파악한다.

 

* 학습 방법

1. 전문 자료를 통하여 공급망에 속해 있는 국가의 경제 환경 및 기업의 산업 분석을 실시해 향후 물류 변화에 대해 생각해본다.

 

2. 대내외 물류 환경 분석의 필요성과 요인들을 이해하고, 대내외 물류환경변화에 따라 물류 네트워크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3. 대내외 환경 분석이 물류 네트워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머릿속으로 그려 본다.

 

4. 각종 기사, 사례 연구집 등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해 각 산업별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에 따라 물류 네트워크 변화에 대하여 학습한다.

 

5. 각 포인트별 거점 특징을 알아보고, 각 포인트별 거점의 기능에 대하여 학습한다.

 

* 응용

1. 국내외 각종 통계와 자료를 참고로 물류환경을 파악

2. 국내외 물류환경을 통하여, 물류시장 동향 및 경쟁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3. 물류환경 분석 자료와 이용 가능한 자원을 기반으로 자사의 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다.

4. 대외 환경 분석 요인별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가

5. 자사 물류 거점 운영 현황 분석을 실시해 도식화하고, 정의할 수 있는지 여부.

6. 자사 물류 흐름 분석을 실시해 공급망 프로세스를 도식화 할 수 있는지 여부.

7. 다양한 국가의 제품의 수출입 물량과 금액 산출

8. 다양한 산업별 비즈니스 전략에 따른 물류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왜 그러한 구조를 선택하였는지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