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수입 컨테이너 내륙 운송 할증료를 줄이면 물류비 절감을 할 수 있을 지 에 대한 고민입니다.
수입 컨테이너 내륙 운송 시 할증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크게는 두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1. 무게
무게 같은 경우에는 안전운임제로 인하여, 20피트 컨테이너는 20톤, 40피트 컨테이너는 23톤을 넘게되면 발생하게 되는데,
톤마다 구간운임의 10%씩 가산되기 떄문에 꽤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 입니다.
예를 들면 20~ 21톤 사이는 구간운임의 10% 가산, 21~22톤은 20% , 22~23톤은 30% 등 입니다.
그렇다고, 컨테이너 내품의 중량을 줄이게 되면, 적재율이 떨어지면서, 컨테이너 대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겠죠.
그래서 따져야 하는데, 안전운임제 제한까지 중량을 채울 것인지. 아니면 할증료를 물더라도 더 싣고 오는게 이득인지요.
또한, 항구 근처에 작업을 할 수 있는 창고가 있다면 거기에서 먼저 해체 후 화물을 내륙운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더 쌀 것인지와도 비교를 해보아야 하겠습니다
상하차비 내륙 트럭운송료와 컨테이너 내륙운송료를 비교했을 때, 무엇이 더 저렴한지는 담당자가 꼼꼼히 따져봐야 하겠죠.
2. 휴일 운송
휴일운송은 급한 납기 건이 아니라면, 평일에 운송함으로써 할증료를 방지할 수 있겠죠. 그러므로 스케쥴링 능력이 필요하겠습니다.
사전에 미리미리 챙기구.. 정리를 해놓아야 하겠습니다.
물류는 비용 발생하는 구조를 잘 보고 어디에서 비용이 나가고 있는 지를 살펴야 하겠습니다.
'물류이야기 > 물류비 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비 절감) 팔레트 변경 (목재 -> 플라스틱) (0) | 2025.01.27 |
---|---|
물류절감) 라벨 용지 (0) | 2025.01.04 |
물류비 절감 - 내륙 운송 경유비에 관하여, (0) | 2023.03.25 |
물류비 절감 - 체화료 (0) | 2021.11.23 |
물동량이 변동적일 때, 물류 창고 보관료 절감하는 법 (2) | 2020.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