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물동량이 변동적일 때, 물류 창고에 보관 공간에 대한 사용료는 물량급으로 지급한다.
배경
기업은 물류창고를 사용할 때, 평수를 지정하여 고정 대여 사용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창고에 우리 물건을 입고 출고시키는 용역 계약을 맺게 될 때, 보통은 창고의 고정 공간일부를 (예 100평)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물동량 수준이 고정적이고, 어느정도 규모가 정해져 있다면, 이렇게 계약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유리할 것입니다.
하지만 임시물량, 변동물량의 경우에는 어떠할까요?
보관료 절감의 예
예를 들어, 몇개월동안 임시 물량을 컨트롤할 창고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창고를 정하고, 협상을 하니, 창고주는 당연히 최대 고정평수로 제안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회사의 물동량을 살펴 보았을 때, 고정평수로 계약하는 것이 과스펙이라고 생각된다면,
변동보관료 지급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평당 보관료를 PLT당 보관료로 변경하고, 일일 보관 기준으로 바꾼다음. 하루하루 재고량에 따라 보관료를 산정할 수 있도록 계약하는 것이 좋다.
보통 창고주마다 보관료 산정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협상하기 나름이다.
어떤 창고주는 입고물량에 대한 단가를 매기기도 하고, 월말에 재고수량에 대한 단가를 매기기도 한다.
결국은 물량별, 일별 보관료를 책정하여 계약하는 것이, 화주의 입장에서는 가장 합당하고, 과다한 보관료 지출이 발생하지 않는 의사선택이리라 생각된다.
물론 물류기업과 협상 과정 전에, 화주는 자신의 기업의 물량 계획이나, 물량 특성, 물류작업성 등 다양한 상황을 분석해보아야 한다.
변동물량 보관료 관리법
'일일 재고 수불을 체크한다.'
- 일일 재고 수불을 체크해서 정확한 보관료를 계산할 수 있도록, 근거를 남겨놓는다.
- 굳이 화주가 매일 작성할 필요는 없고, 물류기업에게 맡기면 된다. 화주는 일정한 주기로 검증하여 실수가 없는지 점검한다.
'물류이야기 > 물류비 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비 절감 - 내륙 운송 경유비에 관하여, (0) | 2023.03.25 |
---|---|
물류비 절감 - 체화료 (0) | 2021.11.23 |
수출입 물류비 절감 - 디머리지(Demurrage)/디텐션(Detention) 체화료 관리 (0) | 2020.10.12 |
물류비 운송비 절감방법 - 고정차량을 이용하자. (0) | 2020.09.20 |
운송 물류비 절감 방법, 운송 계약을 점검하자. (0) | 2020.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