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이야기41 물류비 절감 - 수입 컨테이너 내륙 운송 할증료에 관하여 이번에는 수입 컨테이너 내륙 운송 할증료를 줄이면 물류비 절감을 할 수 있을 지 에 대한 고민입니다. 수입 컨테이너 내륙 운송 시 할증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크게는 두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1. 무게 무게 같은 경우에는 안전운임제로 인하여, 20피트 컨테이너는 20톤, 40피트 컨테이너는 23톤을 넘게되면 발생하게 되는데, 톤마다 구간운임의 10%씩 가산되기 떄문에 꽤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 입니다. 예를 들면 20~ 21톤 사이는 구간운임의 10% 가산, 21~22톤은 20% , 22~23톤은 30% 등 입니다. 그렇다고, 컨테이너 내품의 중량을 줄이게 되면, 적재율이 떨어지면서, 컨테이너 대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겠죠. 그래서 따져야 하는데, 안전운임제 제한까지 중량을 채.. 2023. 3. 25. 물류비 절감 - 내륙 운송 경유비에 관하여, 오늘은 내륙 운송 경유비에 대한 생각을 써보겠다. 일단, 간단하게는 경유비라는 것은 착지 비용이라고 보면 되는데, 운송기사가 도착지가 여러 곳에 갈 경우, 한 곳에 도착할 때마다 추가비용을 주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합짐이나, 멀티운송 등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 되곤 하는 것 같다. 근데 경유비가 적게 측정되면 좋을 것 같은데, 그것은 또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1. 경유비가 시세보다 저렴한 경우, 물류 담당자들은 운송계약을 싸게 했다고 생각해서 좋다고 생각할 수 도 있다. 하지만 이는 차량 대수가 많아 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운송 시장에서 운송기사들이 경유비가 너무 짜서 짐을 잡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소형차량이 늘어나게 된다. 한 차량으로 갈 수 있.. 2023. 3. 25. 컨테이너 적재 & 적출 지게차 기능 차이 사이드 쉬프트 / 포크 포지셔너 오늘은 컨테이너 적출 과정에서 발생한 일을 기록해보려고 한다. 새로운 제품이 입항하여, 컨테이너 적출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 중량물이지만, 팔레트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 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오산이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창고에 있는 지게차의 스펙 때문이었는데, 우리 창고에 있는 지게차는 포크 포지셔너이었던 것이다. 그 화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이드 쉬프트 기능이 필요했다. 왜 그럴까? 컨테이너 적재물이 컨테이너 양벽에 딱 붙어 있는 경우였고, 우리가 가진 포크 포지셔너로는 지게차의 양발이 삽입이 되지 않았다! 자 그럼 사이드 쉬프트와 포크 포지셔너의 차이를 보면, 아래 중경기계 산업 동영상을 참고해보자 ► 사이드 쉬프트 기능 설명 (중경기계산업 홈페이지) http://www.jungk.. 2023. 3. 18. 팔레트 제작 관련 주문 팔레트 제작은 보통 화물의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반드시 샘플을 만들어야 한다. 오늘은 새로 만든 샘플이 들어왔는데 너무 마음에 안들고 비용을 날리게되어, 본의 아니게 눈치를 보게 되었다. 다른 팔레트를 만들기 위해, 업체가 방문하였는데, 이 업체는 꼼꼼하게 도면도 그려오고, 의견도 적극적으로 개진해서 담당자 입장에서는 편했다. 형강의 모형, 크기, 가로, 세로, 화물의 무게 등을 고려해야 하고, 사전에 스펙을 정해야 한다. 특히 작업을 하게 될 것을 상상해야하는데,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이용해서 팔레트에 얹고, 빼는 작업을 할 수 있게 고려해서 제작해야한다. 2023. 2. 20. 이전 1 2 3 4 5 ··· 11 다음